Surprise Me!

[아는기자]하마스 벌떼 공격에 뚫린 아이언돔?

2023-10-08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<br><br> Q1. 중동 화약고에서 불붙은 전쟁. <br> <br> 우리에게 닥친 안보 현실과도 비교되는데요 <br> <br>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벌떼 공격에 세계 최강 방공망인 아이언돔도 뚫렸네요? <br><br>A. 네, '아이언 돔' '하늘을 철갑으로 씌웠다'는 이름을 가졌을 정도로, 이스라엘이 자랑하는 최첨단 방어장비죠. <br> <br>로켓 위협에 대응해 이스라엘은 저고도 방공 시스템, 아이언돔을 2011년 개발했습니다. <br><br>아이언돔 1개 포대는 레이더와 추적시스템, 사격통제센터, 그리고 요격미사일 20발을 쏠 수 있는 발사대 3대로 구성되는데요. <br> <br>그러니까 아이언 돔 1개 포대는 최대 60발 정도를 동시 요격할 수 있는거죠. <br><br> 요격률이 90%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, 이번에 수천 발의 로켓탄으로 벌떼 공격이 쏟아지자 사실상 무용지물이 돼 버렸습니다. <br><br>Q2. 북한도 휴전선일대 대규모로 방사포를 배치하고 있지 않습니까.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도 커보이는데요.<br> <br>A2. 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하마스의 공격수단인 로켓포, 북한의 방사포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는데요. <br> <br>북한은 휴전선 인근에 장사정포 1000여문을 배치해 시간당 만여 발의 포탄을 수도권에 퍼부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 군도 촘촘한 방공망을 구축하고 있죠. <br><br>북한 미사일에 대해서는요. <br> <br>하층부는 패트리엇 미사일, 천궁 2가 L-SAM은 그 사이, 고도 150km까지의 상층부는 '사드'가 담당하고 있고요. <br><br>방사포에 대비한 장사정포 요격체계도 갖추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한계가 있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입니다. <br> <br>[양욱 /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] <br>"요격은 탄도미사일에 대해서 하는거고 장사정포와 소위 포탄 공격에 대해서는 '킬체인(선제타격 기술)' 같은 것들을 작동해서 원점을 타격하는 그런 방식으로 대응해나가는 게 실제 전면 전시에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되는거죠." <br><br>Q3. 그런데 이스라엘의 정보기관, 영화에도 자주 등장할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 아닙니까. 공격 징후도 전혀 몰랐던 겁니까? <br><br>A3. 이스라엘의 해외첩보기관인 '모사드'는 중동에 광범위한 첩보망을 구축하고 있는데요,<br><br>막대한 자금력으로 서방을 위협할 만한 정보까지 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이번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셈입니다. <br> <br> 공격 징후를 파악해 사전에 공유하지 못한 미국 CIA 등의 정보력에 대한 우려도 흘러나옵니다. <br><br>Q4.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임기 중에 두 개의 전쟁을 맞닥뜨리게 됐네요. <br><br>A4.네, 우크라이나에 이어 중동 화약고도 폭발했는데요. <br> <br>바이든 대통령, 이스라엘에 대한 전방위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미국은 이스라엘과 함께 합니다. 우리는 결코 그들의 뒤를 지키는 일에 실패하지 않을 것이며, 이스라엘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도움을 받고 계속 자국을 방어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." <br> <br>하지만 지난해 미국은 이미 우크라이나에 103조 원을 지원했고, 국민여론도 예전만 같지 않습니다. <br> <br> 내년 11월 대선을 앞둔 바이든 대통령이 얼마나 중동을 지원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Q5.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전쟁, 언제까지 이어질까요. <br> <br>A5. 장기화될 가능성, 높아보입니다. <br><br>이스라엘은 즉각 가자지구에 보복 공격을 단행했고요. <br> <br>이스라엘 북부에 있는 레바논 무장세력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을 향해 박격포탄을 쏘아올리며 참전했습니다. <br> <br>헤즈볼라는 이란의 지원을 받는 무장단체로 알려졌죠. <br> <br>최근 이스라엘은 미국 주도로,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 정상화를 시도하고 있었고, 이에 대해 이란은 불편한 속내를 숨기지 않은 만큼, 이번 전쟁의 배후로도 지목됩니다.<br> <br>미국-이란의 대리전이 전면 충돌로 이어질 경우, 신 중동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자, 조아라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